반응형

윈도우 11이 정식 출시된 이후 많은 분들이 업그레이드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 윈도우 10에서 설정과 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업그레이드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Win11AutoUpgrade3 도구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10 22H2 → 윈도우 11 25H2 업그레이드 과정을 직접 테스트한 결과를 단계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Win11AutoUpgrade3 주요 기능

  • 현재 윈도우 버전과 빌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winver] 버튼으로 대조 가능합니다.
  • Setup.exe 실행 옵션은 setting.ini에 저장되어 반복 설치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install.wim 인덱스는 현재 윈도우 에디션과 동일 버전이 자동 선택됩니다.
  • 디스크 사용률이 70% 이상일 경우 디스크 정리 자동 실행, 미만일 경우에는 수동 실행 가능.
  • 원활한 설치를 위해 **실시간 보호 기능(Windows Defender)**은 일시적으로 꺼 두는 것이 좋습니다.

2. 설치 방식과 옵션

  • 설치 방식 : Upgrade (파일, 설정 및 앱 유지)
  • 업데이트 옵션 : Disable (나중에)
  • install.wim 인덱스 : 현재 사용 중인 윈도우 에디션과 동일 버전 선택

설치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프로그램 내 ‘디스크 정리’ 기능으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업그레이드 설치 과정

  1. 준비가 완료되면 [설치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2. Setup.exe가 지정된 옵션으로 자동 실행되며, 윈도우 11 업그레이드가 진행됩니다.
  3. 업그레이드 과정은 95%까지 진행된 후 자동 재부팅이 발생합니다.
  4. 재부팅 후 남은 설치 및 업데이트 작업이 이어져 100%까지 완료됩니다.
  5. 계정 로그인 및 최종 정리 과정을 거치면 설치가 마무리됩니다.

4. 설치 소요 시간 (테스트 기준)

  • 총 소요 시간 : 약 19분 09초
  • 95% 구간 후 재부팅 대기 : 약 32초
  • 재부팅 후 설치/업데이트 마무리 : 약 3분 35초
  • 로그인 및 최종 정리 : 약 1분 43초

※ 실제 소요 시간은 PC 성능, 저장 장치 속도, 설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5. 업그레이드 완료

테스트 결과, 윈도우 10 22H2에서 사용 중이던 설정과 앱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윈도우 11 25H2 업그레이드 설치가 성공적으로 완료
되었습니다.


마무리

Win11AutoUpgrade3는 복잡한 수동 설정 없이도 자동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특히 개인 파일, 앱, 설정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버전의 윈도우로 이동하고 싶은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업그레이드 설치를 계획 중이시라면 이번 가이드를 참고하시어 안정적으로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 동영상 제목 클릭 후 전체화면(1080P)시청 가능합니다.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링크로 커피를 후원 해주세요. ^^

donaricano-btn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 11 ISO를 직접 만들고, 누적 업데이트를 통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이 가이드는 UUPdump 사이트와 통합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AIO ISO를 생성하고, 최종적으로 VMWare에서 테스트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1. 준비 단계

  1. UUPdump 사이트 접속
    UUPdump.net 사이트로 이동 후 언어를 한국어로 변경합니다.
  2. 통합할 윈도우 버전 선택
    업데이트를 통합할 Windows 버전을 선택합니다.
  3. 빌드 아키텍처 선택
    빌드 가능한 목록에서 x64(amd64)를 선택하세요.
    ⚠️ ARM64는 일반 PC에서 사용 불가하므로 주의합니다.
  4. 언어 선택 및 다음 버튼 클릭
    통합할 윈도우 빌드에 사용할 언어를 한국어로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에디션 선택
    • Home, Pro만 빌드할 경우 → [다운로드 및 ISO 변환] 선택
    • 다른 에디션 추가 시 → [다운로드, 추가 에디션 생성 및 ISO 변환] 선택

2. 다운로드 및 압축 해제

  1. 다운로드 패키지 생성
    모든 옵션 선택 후 [다운로드 패키지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빌드용 패키지 압축 파일이 다운로드됩니다.
    예: 26200.5074_amd64_ko-kr_multi_ac4adc36_convert_virtual.zip
  2. 작업 폴더에 복사 및 압축 해제
    다운로드한 압축 파일을 작업 폴더로 복사한 후 압축을 해제합니다.

3. 스크립트 및 설정 수정

convert-UUP_Patcher v2.0.exe
1.08MB

  1. ConvertConfig.ini 수정
    Notepad2로 열고 [convert-UUP] 항목을 수정합니다.
    • AutoStart=0 → 자동 시작 안함(자동 시작 = 1, 기본값)
    • LCUwinre=1 → 누적 업데이트 갱신(안 함 = 0, 기본값), PE 빌드시 필수 옵션
    • AddDrivers=1 → 드라이버 통합(안 함 = 0, 기본값), IRST/VMD
  2. convert-UUP.cmd 수정
    • set AddDrivers=1
    • ren temp\winre.wim boot.wim 다음 줄에 빌드 매치용 구문 추가 (선택 사항)
    • boot.wim과 winre.wim의 빌드 앞번호를 install.wim에 맞추기
    • https://windowsforum.kr/review/20557129
 

설치/사용기 - boot.wim과 winre.wim의 빌드 앞번호를 install.wim에 맞추기

윈도우 iso의 3가지 wim 파일의 빌드 번호를 꼭 맞춰야 하는건 아닙니다 [맞춰서 나쁠 건 없습니다] 맞춰야 하는 경우는 PE 만드는 프로그램에서 보통 winre.wim으로 PE를 만듭니다   이때 필요한 파일

windowsforum.kr

 


4. 드라이버 통합

  • IRST, VMD 드라이버를 폴더에 추가 후 통합 옵션 선택
    • ALL → 모든 WIM 파일에 통합
    • OS → install.wim만 통합
    • WinPE → boot.wim, winre.wim만 통합

5. 업데이트 통합 및 AIO ISO 생성

  1. uup_download_windows.cmd 실행
    빌드에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와 패키지를 다운로드합니다.
    ⚠️ 다운로드 시간은 인터넷 속도와 서버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영상에서는 x10 배속으로 처리)
  2. 작업 지연 방지
    윈도우 디펜더 → 실시간 보호 기능을 꺼두면 빌드 속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3. AIO ISO 생성
    모든 준비가 완료되면 convert-UUP.cmd를 실행하고 옵션을 선택해 ISO를 생성합니다.
    • 0 → AIO 생성
    • 1 → install.wim으로 AIO ISO 생성

6. ISO 수정 및 테스트

  1. $OEM$ 소스 추가
    최종 통합 ISO 파일을 열고 수정한 파일과 자동 설치용 $OEM$ 소스를 추가한 뒤 다른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2. VMWare에서 테스트
    생성된 ISO를 VMWare에 설치해 정상적으로 설치되는지 확인합니다.
    모든 설치는 $OEM$ 소스를 기반으로 Administrator 계정으로 바탕화면까지 자동 진행됩니다.

7. 추가 팁

  • CMD 창에서 모든 내용을 복사 후 메모장에 붙여넣어 error를 확인하면 빌드 오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boot.wim LaunchBar 추가 및 이미지 정보 수정은 선택 사항이며, 자동화 배치 스크립트로 진행 가능합니다.

이 가이드를 참고하면 윈도우 11 누적 업데이트 통합 ISO를 안전하게 생성하고, AIO ISO 빌드까지 경험할 수 있습니다.

 

 

 

■ 동영상 제목 클릭 후 전체화면(1080P)시청 가능합니다.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링크로 커피를 후원 해주세요. ^^

donaricano-btn

반응형
반응형

모든 Index의 winre.wim파일이 갱신되어 PE빌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순수 설치는 ISO > Sources > $OEM$ 폴더 삭제(or 이름변경) 후 사용 가능합니다.

boot.wim 우회 및 LaunchBar 추 기본 관리자(Administrator)계정으로 설치 됩니다.

 

 

■ 동영상 제목 클릭 후 전체화면(1080P)시청 가능합니다.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링크로 커피를 후원 해주세요. ^^

donaricano-btn

반응형
반응형

Sysprep 종합 테스트 샘플

만능WIM Sysprep [봉인/무봉인] 
Easy Sysprep v5
Sysoreo Ceo Tool v3

 

Windows_11_24H2_LTSC_12in1_Hotfix250813_App2in_LaunchBar.ISO 

 

1. Windows Sysprep

장점

  • Microsoft 공식 지원 툴로 안정성과 호환성이 뛰어납니다. 대량 PC 배포용 이미지 제작에 적합하며, SID 등 고유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 일반화(generalize) 옵션을 통해 복제 시 발생할 수 있는 SID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재현 가능한 시스템 배포가 가능합니다.
  • 감사 모드(Audit Mode)와 OOBE(Out-of-Box Experience) 모드를 지원해 이미지에 사용자 지정 설정 또는 자동화 초기 설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이미징 후 Windows 설치 프로그램 또는 Windows PE 환경을 이용해 간단하게 재설치할 수 있고, ImageX 등과도 잘 호환됩니다.

단점

  •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친절하지 않고, 초기 설정 및 자동화에 대한 진입 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 특정 경로나 서비스 제거 등 상세 커스터마이징은 자동화 스크립트 (unattend.xml 등)를 이용해야 하므로 초보자에는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
  • 여러 하드웨어 환경을 아우르는 고도화된 이미지를 만들 때는 다양한 드라이버나 설정 변경 등을 별도 고려해야 합니다.

2. Sysprep Ceo Tool v3

장점

  • 사용자가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손쉽게 Sysprep 일반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구입니다.
  • System, Tasklist, Deploy, Package 등의 모드가 있어 용도에 따라 기능을 구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asklist 모드에서는 인증 관련 프로그램 등이 자동 초기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Deploy 모드에서는 관리자 계정을 자동으로 변경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 UI 기반이라 진입 장벽이 낮고, 봉인 작업을 보다 직관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단점

  • 일부 사용자에 따르면 버전 업 이후 인터넷 시작 페이지를 중국 사이트로 변경하는 등 이상 동작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 특정 항목(예: SecurityHealth)의 체크 상태에 따라 Defender나 Edge 브라우저가 중국어로 표시되는 등의 문제 발생 가능성을 사용자들이 경험하고 있어 구성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공식 문서가 부족하여 사용자들 커뮤니티 도움이나 시행착오를 통해 사용법을 익혀야 하므로 신뢰성과 안정성은 공식 도구보다는 떨어질 수 있습니다.

3. Easy Sysprep v5

장점

  • Sysprep 과정을 보다 간단하게 만들어 주는 UI 기반 도구로, 사용자 친화적이고 초기 설정이 쉬웠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 최근 버전(예: v5.19 등)이 출시되어 Windows 11 만능 WIM 이미지 제작을 지원하는 등 비교적 최신 운영체제에도 대응됩니다.

단점

  • 상세 기능이나 옵션에 대한 공식 설명 자료가 부족하며, 커뮤니티 기반 정보가 중심이라 문서화가 잘 되어 있지 않습니다.
  • 안정성이나 문제 대응력은 검증된 Sysprep 또는 기업용 솔루션에 비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최신 환경을 일부 지원하더라도, Microsoft 공식 업데이트 이후 변화에 얼마나 빠르게 대응할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요약 비교표

도구장점단점
Windows Sysprep - 공식 지원, 안정성 높음
- 일반화로 SID 충돌 방지
- 감사 모드/OOBE 지원
- ImageX 등과 호환성 좋음
- UI 불친절, 자동화 진입 장벽 있음
- 고급 커스터마이징에 복잡함
Sysprep Ceo v3 - UI 기반, 사용 쉬움
- 모드별 세분화
- 배포 환경 맞춤 설정 가능
- 일부 이상 동작 사례 존재
- 문서·지원 부족, 안정성 불확실
Easy Sysprep v5 - UI 친화적, 최신 Windows 대응
- WIM 이미지 제작 간편
- 기능 문서화 부족
- 안정성과 최신 대응력 검증 안 됨

결론 및 추천

  • 안정성과 호환성이 최우선이라면 Microsoft 공식 Windows Sysprep이 가장 무난합니다. 대량 배포 환경에서는 기본으로 사용되는 기준입니다.
  • 사용 편의성과 직관성을 중요시한다면, Sysprep Ceo v3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설정 항목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사용자들이 겪은 이슈(시작 페이지 변경, Defender 비활성화 등)에 주의하며 사용하세요.
  • 최신 OS 대응과 WIM 이미지 제작의 간편함이 필요하다면, Easy Sysprep v5 (예: v5.19 등) 가 편리할 수 있지만, 문서와 안정성 측면에서는 확인이 필요합니다.

 

■ 동영상 제목 클릭 후 전체화면(1080P)시청 가능합니다.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링크로 커피를 후원 해주세요. ^^

donaricano-btn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