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윈도우 단축 명령어 실행 v2.0 버전의 기타탭의 실행 명령어를 소폭 갱신하였습니다. 프로그램 실행 시 Setting.ini 파일이 없으면 생성, 있으면 기존 구성 사용

 - Control, Option, Etc 섹션(탭) 구성요소 수정 가능

 

https://noways.tistory.com/2036

 

윈도우 단축 명령어 실행 v2.0

다소 불안정 하긴 한데 반응이 좋아서 setting.ini으로 수정 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개선해 보았습니다.프로그램 실행 시 Setting.ini 파일이 없으면 생성, 있으면 기존 구성 사용 - Control, O

noways.tistory.com

 

윈도우 단축 명령어 실행 v2.5.zip
0.63MB

 

 

윈도우 기능을 손쉽게 실행하는 오토잇 기반 도구

📌 개요

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제어판, 시스템 정보, 디스크 정리 등 자주 사용하는 시스템 도구를 찾기 번거로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도구는 AutoIt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하여 이러한 기능들을 버튼 한 번으로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든 간단한 유틸리티입니다.

🔧 사용 방법

  1.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2. 원하는 기능의 버튼을 클릭하면 즉시 해당 도구가 실행됩니다.
  3. 프로그램은 백그라운드 작업 없이 빠르고 가볍게 작동합니다.

✅ 마무리

이 도구는 윈도우 환경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솔루션이 될 것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시스템 기능을 손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간단하지만 실용적인 프로그램으로 추천드립니다.

 

 

Setting.ini 기본 설정 파일 생성

[Control]
Command1=sysdm.cpl
Label1=시스템 속성
IconPaths1=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1=16
Command2=desk.cpl
Label2=디스플레이
IconPaths2=C:\Windows\System32\Display.dll
IconIndexes2=1
Command3=control desktop
Label3=바탕화면 설정
IconPaths3=C:\Windows\System32\themecpl.dll
IconIndexes3=1
Command4=control keyboard
Label4=키보드 속성
IconPaths4=C:\Windows\System32\setupapi.dll
IconIndexes4=3
Command5=main.cpl
Label5=마우스 속성
IconPaths5=C:\Windows\System32\setupapi.dll
IconIndexes5=2
Command6=powercfg.cpl
Label6=전원 옵션
IconPaths6=C:\Windows\System32\powercpl.dll
IconIndexes6=1
Command7=explorer.exe shell:::{26EE0668-A00A-44D7-9371-BEB064C98683}\0\::{A8A91A66-3A7D-4424-8D24-04E180695C7A}
Label7=장치 및 프린터
IconPaths7=C:\Windows\System32\imageres.dll
IconIndexes7=5363
Command8=intl.cpl
Label8=국가 또는 지역
IconPaths8=C:\Windows\System32\intl.cpl
IconIndexes8=200
Command9=timedate.cpl
Label9=날짜 및 시간
IconPaths9=C:\Windows\System32\timedate.cpl
IconIndexes9=50
Command10=inetcpl.cpl
Label10=인터넷 옵션
IconPaths10=C:\Windows\System32\inetcpl.cpl
IconIndexes10=4487
Command11=devmgmt.msc
Label11=장치 관리자
IconPaths11=C:\Windows\System32\devmgr.dll
IconIndexes11=201
Command12=ncpa.cpl
Label12=네트워크 연결
IconPaths12=C:\Windows\System32\netshell.dll
IconIndexes12=1
Command13=control /name Microsoft.NetworkAndSharingCenter
Label13=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IconPaths13=C:\Windows\System32\netcenter.dll
IconIndexes13=1
Command14=control /name Microsoft.WindowsFirewall
Label14=Defender 방화벽
IconPaths14=C:\Windows\System32\FirewallControlPanel.dll
IconIndexes14=1
Command15=wf.msc
Label15=방화벽 규칙 설정
IconPaths15=C:\Windows\System32\FirewallControlPanel.dll
IconIndexes15=1
Command16=control.exe /name Microsoft.UserAccounts
Label16=사용자 계정 변경
IconPaths16=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16=269
Command17=control admintools
Label17=관리 도구
IconPaths17=C:\Windows\System32\imageres.dll
IconIndexes17=114
Command18=control fonts
Label18=글꼴 관리
IconPaths18=C:\Windows\System32\fontext.dll
IconIndexes18=410
Command19=appwiz.cpl
Label19=프로그램 및 기능
IconPaths19=C:\Windows\System32\appwiz.cpl
IconIndexes19=1500
Command20=control
Label20=제어판
IconPaths20=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20=137
[Option]
Command1=explorer windowsdefender://ThreatSettings
Label1=Defender 실시간 보호
IconPaths1=C:\Windows\System32\imageres.dll
IconIndexes1=195
Command2=explorer windowsdefender://exclusions
Label2=Defender 제외 목록
IconPaths2=C:\Windows\System32\imageres.dll
IconIndexes2=195
Command3=explorer ms-settings:remotedesktop
Label3=원격 데스크톱
IconPaths3=C:\Windows\System32\mstsc.exe
IconIndexes3=101
Command4=control userpasswords2
Label4=사용자 계정
IconPaths4=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4=269
Command5=control.exe /name Microsoft.UserAccounts
Label5=사용자 계정 컨트롤
IconPaths5=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5=269
Command6=lusrmgr.msc
Label6=로컬 사용자 및 그룹
IconPaths6=C:\Windows\System32\localsec.dll
IconIndexes6=5020
Command7=msra
Label7=Windows 원격 지원
IconPaths7=C:\Windows\System32\msra.exe
IconIndexes7=1
Command8=dxdiag
Label8=DirectX 진단 도구
IconPaths8=C:\Windows\System32\dxdiag.exe
IconIndexes8=0
Command9=cleanmgr
Label9=디스크 정리
IconPaths9=C:\Windows\System32\cleanmgr.exe
IconIndexes9=104
Command10=dfrgui
Label10=드라이브 최적화
IconPaths10=C:\Windows\System32\dfrgui.exe
IconIndexes10=130
Command11=msinfo32
Label11=시스템 정보
IconPaths11=C:\Windows\System32\msinfo32.exe
IconIndexes11=399
Command12=compmgmt.msc
Label12=컴퓨터 관리
IconPaths12=C:\Windows\System32\mycomput.dll
IconIndexes12=204
Command13=secpol.msc
Label13=로컬 보안 정책
IconPaths13=C:\Windows\System32\wsecedit.dll
IconIndexes13=199
Command14=services.msc
Label14=서비스 관리
IconPaths14=C:\Windows\System32\filemgmt.dll
IconIndexes14=1
Command15=gpedit.msc
Label15=그룹 정책 편집기
IconPaths15=C:\Windows\System32\gpedit.dll
IconIndexes15=1
Command16=control schedtasks
Label16=작업 스케줄러
IconPaths16=C:\Windows\System32\miguiresource.dll
IconIndexes16=600
Command17=eventvwr.msc
Label17=이벤트 뷰어
IconPaths17=C:\Windows\System32\eventvwr.exe
IconIndexes17=101
Command18=perfmon.msc
Label18=성능 모니터
IconPaths18=C:\Windows\System32\perfmon.exe
IconIndexes18=105
Command19=resmon
Label19=리소스 모니터
IconPaths19=C:\Windows\System32\resmon.exe
IconIndexes19=1
Command20=rstrui
Label20=시스템 복원
IconPaths20=C:\Windows\System32\rstrui.exe
IconIndexes20=155
Command21=
Label21=
IconPaths21=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21=3
[Etc]
Command1=control folders
Label1=파일 탐색기 옵션
IconPaths1=C:\Windows\System32\imageres.dll
IconIndexes1=117
Command2=explorer ms-settings:privacy
Label2=개인 정보 옵션 변경
IconPaths2=C:\Windows\System32\imageres.dll
IconIndexes2=5322
Command3=explorer ms-settings:privacy-feedback
Label3=피드백 및 진단
IconPaths3=C:\Windows\System32\imageres.dll
IconIndexes3=8
Command4=explorer ms-settings:privacy-activityhistory
Label4=활동 기록
IconPaths4=C:\Windows\System32\DDORes.dll
IconIndexes4=2434
Command5=explorer ms-settings:sound
Label5=소리
IconPaths5=C:\Windows\System32\wmploc.dll
IconIndexes5=1193
Command6=explorer ms-settings:easeofaccess-mousepointer
Label6=마우스 포인터
IconPaths6=C:\Windows\System32\ddores.dll
IconIndexes6=2212
Command7=explorer ms-settings:easeofaccess-magnifier
Label7=돋보기
IconPaths7=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7=23
Command8=explorer ms-settings:notifications
Label8=알림 및 작업
IconPaths8=C:\Windows\System32\imageres.dll
IconIndexes8=84
Command9=explorer ms-settings:activation
Label9=정품 인증
IconPaths9=C:\Windows\System32\imageres.dll
IconIndexes9=82
Command10=explorer ms-settings:windowsupdate
Label10=Windows 업데이트
IconPaths10=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10=16739
Command11=explorer ms-settings:storagesense
Label11=저장소
IconPaths11=C:\Windows\System32\wmploc.dll
IconIndexes11=550
Command12=explorer ms-settings:clipboard
Label12=클립보드
IconPaths12=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12=16763
Command13=explorer ms-settings:personalization-start
Label13=개인 설정 - 시작
IconPaths13=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13=40
Command14=explorer ms-settings:taskbar
Label14=작업 표시줄
IconPaths14=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14=40
Command15=explorer ms-settings:defaultapps
Label15=기본 앱
IconPaths15=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15=274
Command16=explorer ms-settings:powersleep
Label16=전원 및 절전
IconPaths16=C:\Windows\System32\DDORes.dll
IconIndexes16=2143
Command17=explorer ms-settings:multitasking
Label17=멀티태스킹(창 끌기)
IconPaths17=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17=22
Command18=explorer ms-settings:crossdevice
Label18=공유 환경
IconPaths18=C:\Windows\System32\imageres.dll
IconIndexes18=5371
Command19=explorer ms-settings:yourinfo
Label19=사용자 정보
IconPaths19=C:\Windows\System32\imageres.dll
IconIndexes19=1029
Command20=explorer ms-settings:signinoptions
Label20=로그인 옵션
IconPaths20=C:\Windows\System32\shell32.dll
IconIndexes20=45
Command21=
Label21=
IconPat

 

Windows 11 MS-Settings URI 명령의 전체 목록
https://gist.github.com/dbilanoski/8e931a0072b61ea215996a18fd215fb3

 

Complete List Of Windows 11 MS-Settings URI Commands

Complete List Of Windows 11 MS-Settings URI Commands - windows11-ms-settings-uri-commands.csv

gist.github.com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를 설치할 때, 어떤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표적인 윈도우 설치 방법 네 가지를 비교해보았습니다.

  • 기본 Setup 설치
  • EasyWinSetup
  • RSImageX
  • WinNTSetup

 

 

이 글은 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각 도구의 설치 속도, 설정 방식, 자동화 구성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해보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 사전 구성

  • 파티션 작업은 런처바에 포함된 Diskpart 파티션 스크립트 v4.5를 사용하여 시스템 파티션(200MB)과 Windows 파티션으로 분할하였습니다.
  • 설치에 사용된 이미지는 윈도우 11 24H2 통합본 ISO 이며, 각 도구별로 동일한 무인설치 응답파일(unattend.xml)을 적용하여 테스트하였습니다.

🚀 설치 과정 및 속도 비교

설치 시작 시점은 4개 도구 모두 유사하지만, 설정 가능한 옵션은 도구마다 차이가 있어 사용자 환경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WinNTSetup은 가장 빠르게 설치를 마무리하고 시스템을 재부팅하였습니다.
  • 이후 RSImageX , EasyWinSetup, 기본 Setup 순으로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 자동화 구성 요소

  • Specialize 단계에서는 $OEM$\Setup\Scripts에 포함된 EDLauncher.bat를 통해 드라이버 자동 설치가 진행됩니다.

 

 

 

  • 바탕화면 진입 후에는 RunOnce를 통해 Windows 10/11 상위 버전 업그레이드 차단 스크립트가 실행되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한 초기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 SetupComplete.cmd에서는 VisualCppRedist 2005~2022 자동 설치, 우클릭 메뉴(Context Menu) 등록 등 초기 환경 구성이 자동으로 완료됩니다.

🔚 마무리

관리자 계정으로 자동 로그인되며, 바탕화면 진입까지 모든 과정이 무인설치로 진행됩니다. 마지막으로 RunOnce 명령을 통해 필요한 추가 설정이 실행되며, 설치가 최종 마무리됩니다.


📝 결론

이번 비교는 RSImageX , EasyWinSetup , WinNTSetup, 그리고 Windows Setup 기본 설치 방식의 차이를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설치 속도는 사용하는 PC의 사양, 디스크 종류, 이미지 구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자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설치 방법을 선택해보시길 바랍니다.

 

 

■ 동영상 제목 클릭 후 전체화면(1080P)시청 가능합니다.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링크로 커피를 후원 해주세요. ^^

donaricano-btn

반응형
반응형

문제 설명

Windows를 클린 설치한 후에도 Windows 업데이트 설정에서 "*일부 설정은 조직에서 관리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그룹 정책이나 레지스트리 설정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시스템이 조직의 정책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해결 방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의 배치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관련 레지스트리 키를 삭제하고 그룹 정책을 새로 고칠 수 있습니다.

 

 

FixUpdatePolicy.cmd
0.00MB

 

@echo off
chcp 65001 > nul
title 🔧 Windows 업데이트 정책 초기화 도구
mode con cols=100 lines=25

:: 관리자 권한 확인
net session >nul 2>&1
if %errorlevel% neq 0 (
    echo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echo 마우스 오른쪽 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해 주세요.
    pause
    exit /b
)

echo ────────────────────────────────────────────────────────────────────────────────────────
echo 🔧 Windows 업데이트 정책 초기화 시작
echo ────────────────────────────────────────────────────────────────────────────────────────
echo.

:: 임시 레지스트리 파일 생성
set "regfile=%temp%\clear_update_policy.reg"
(
echo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echo.
echo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 > "%regfile%"

:: 레지스트리 적용
echo 🧹 1단계: Windows 업데이트 관련 레지스트리 정책 제거 중...
regedit /s "%regfile%"
echo ✅ 레지스트리 정책 제거 완료
echo.

:: 정책 갱신
echo 🔄 2단계: 그룹 정책을 새로 고치는 중입니다...
gpupdate /force
echo ✅ 그룹 정책 갱신 완료
echo.

:: 임시 파일 삭제
del "%regfile%" >nul

:: 완료 메시지
echo ────────────────────────────────────────────────────────────────────────────────────────
echo ✅ 모든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start ms-settings:windowsupdate
echo 🔁 시스템을 재시작하면 설정이 완전히 적용됩니다.
echo ────────────────────────────────────────────────────────────────────────────────────────
pause

 

 

 

 

일부 설정은 조직에서 관리합니다. 해제 - 움짤 GIF

반응형
반응형

이 글에서는 *무인설치 응답 파일(unattend.xml)*을 활용하여 윈도우를 자동으로 설치하는 과정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EasyWinSetup과 배치 스크립트를 통해 이미지 번호, 응답 파일, 그리고 $OEM$ 소스를 설정하고, 파티션 구성부터 드라이버 자동 설치, OOBE 설정까지 전 과정을 실습 중심으로 단계별 안내합니다.

또한, 시스프렙(Sysprep) 모드 감지, 로컬 계정 생성 단계의 지연 우회, <FirstLogonCommands> 명령 실행 등
실제 환경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자동화 설정 방법도 함께 설명합니다.

윈도우 설치를 자동화하고자 하는 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이드가 되길 바랍니다.

 

 

 

■ 동영상 제목 클릭 후 전체화면(1080P)시청 가능합니다.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링크로 커피를 후원 해주세요. ^^

donaricano-btn

반응형

+ Recent posts